안녕하세요 강사 김창걸입니다.
1. 우선 (기계 장비를 선정하기위한) 부하계산에서는 최우선하는 부분이 부하에 비해 작은 용량의 장비가 선정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난방 부하계산에서 일부 열획득에 대해서는 고려치 않고 있습니다.
2. 요구량계산에서는 장비선정이 아닌 건축물의 조건과 기상데이터, 용도프로필에 따라 정확한 냉방, 난방, 급탕, 조명에서의 필요로하는 에너지량을 산출해내는 것에 촛점이 맞춰집니다. 따라서 관련된 모든 조건에서의 열획득 내용도 포함하게 됩니다.
3.1) 난방에너지요구량에서는 열획득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계산을 하여야 하는지 및 난방에너지요구량에서 고려해야할 사항(ex. 구조체를 통한 관류 열손실 등), 2) 냉방에너지요구량에서 고려해야할 사항(ex. 구조체를 통한 관류 열획득 등)관련
-> 문제의 조건에 주어지는 열획득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계산해야합니다.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교재에도 있듯이..
1) 구조체(지붕,바닥,외벽,창호,문)를 통한 열손실 혹은 열획득
2) 침기, 환기를 통한 열손실 혹은 열획득
3) 창호를 통한 열획득, 조명열획득, 사람, 작업보조기기 열획득 등입니다.
1), 2)의 경우 실내외 온도차의 값이 (-)일 경우 열손실, (+)일 경우 열획득량으로 계산되어집니다.
*2-33페이지의 '조명발열미포함'의 의미는 용도프로필상에서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의미입니다 조명전력및 그에 따를 발열량은 설계에 따라 바뀌는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프로그램 결과 사례입니다.
1) 기준(조명밀도 10w/m2, shgc 0.516)

2) 조명밀도 10에서 11로 변경시 요구량에서 조명 증가, 냉방증가, 난방 감소의 결과를 보이게 됩니다.

3) SHGC 0.516에서 0.3으로 낮출시 요구량에서 난방증가, 냉방감소의 결과를 보입니다.

좋은 시험결과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