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2. 에너지자립률(%)
|
=
|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생산량
|
|
|
━━━━━━━━━━━━━━━
|
×
|
100
|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비량
|
|
|
주2)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비량(kWh/㎡·년)
=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요량 +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생산량
에서 소비량 개념은....단위면적당1차에너지소요량(생산량이 반영되어 수치가 줄어든) +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 생산량...
즉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순수 소비되는 량으로
개념적으로 신재생이 반영되든 안되든 같은 한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량입니다. 따라서 신재생을 많이 적용했다고 그에 따라 크게 바뀌지 않는 순수한 요구량을 만족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량입니다.
그래서 분모는 신재생을 많이 적용하든 그렇지 않는 개념적으로는 변화가 없는 수치입니다..
분자는 신재생 생산량(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는 마이너스)는 신재생을 많이 투입할 수 록 커지는 에너지량입니다..
이 에너지량이 점점커져서 소비량을 모두 커버할 정도가 되면 자립률은 100%가 됩니다...
답변이 됬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래 시뮬레이션 샘플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1) 태양광 많이 적용한 사례

2)태양광을 적게 적용한 사례

모두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소비량은 141.3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