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손일찬님
다음 그림은 응축온도가 일정하고 과냉각이 없을 때 증발온도가 변화했을 경우에 대한 p-h선도 상의 변화입니다.(단, 응축기 출구의 냉매액 및 압축기 출구의 냉매가스 상태는 동일한 것으로 함)

여기서, a-b: 압축과정, b-c:응축과정, c-d;응축과정, d-a:증발과정입니다. 그리고 압축기 토출가스상태는 (b,b'b'')점 입니다. 질문하신 응축온도가 일정할 때 증발온도가 상승하면 정상상태의 냉동사이클a-b-c-d-a가 증발온도가 상승하면 a'-b'-c'-d'-a'와 같이 변화합니다. 따라서 토출가스온도는 b점에서 b'점으로 온도가 강하하고 압축일량이 Aw에서 Aw'로 감소하게 됩니다. 냉매순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증발압력이 상승하면 압축기 흡입가스 비체적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냉매순환량은 = 압축기피스톤압출량x체적효율/흡입가스비체적 입니다. 그리고 그림에서 a''-b''-c''-d''-a''의 경우는 증발온도가 감소하는 경우의 사이클입니다.
열공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