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태양광을 많이 적용한 사례에서 1차 에너지 요구량은 89.3-(-52.1)=141.4
에너지자립률은( 52.1÷141.4)x100=36.85%
2.태양광을 적게 적용한 사례에서 1차 에너지 요구량은 130.9-(-10.4)=141.3
에너지자립률은( 10.4÷141.3)x100=7.36%
---------------------------------------------
이 문장이 이해가 안갑니다.
3. "만약 극단적으로 태양광을 80으로 생산하면 에너지요구량은 141.3-80=61.3
으로 에너지자립률은( 80÷61.3)x100=130.50%"
이렇게 되어야 하는것 아닌지요.
"만약 극단적으로 태양광을 180으로 생산하면 에너지소요량(요구량의 의미)은 141.3-180 = -37.8 (소요량은 0, 37.8만큼 더 여유가 있어서 한전에 판매할 수도 있고 등등..
에너지자립률은( 180÷141.3)x100=127.4%
태양광을 80생산하면 1차에너지 소요량은 141.3 - 80 = 61.3 이고,
에너지자립률은( 80÷141.3)x100=56.6%
질문과 답변들을 읽어보다가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4. 시뮬레이션 건축물의 1차 에너지요구량은 141.3으로 일정하므로 신재생에너
지생산량이 많으면 에너지자립률은 100을 초과하게 됨
5. 분모의 1차에너지소비량은 실제로 1차 에너지요구량을 뜻하므로 항상일정한
수치임(소비의 개념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