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료하고 열정적인 강의에 감사를 드리며, 반면에 기대에 부응 하지 못하여 항상 아쉬운 마음입니다.
문제의 모법답안에 1. 수냉식 응축기로 변경 과 2. 지하수개발 로 되어 있는데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제소견으로는 첫번째, 수냉식으로 변경하면 우선 물의 비열(4.186kJ/kg)과 공기의 비열(1.01kJ/kg)의 차이로 냉방부하가 일정한경우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압축일을 줄일 수 COP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맞는지요?
두번째, 지하수 개발은 어떤 측면에서 COP향상과 관계가 있는 건지요? 일반적인 설치 조건들을 기술하면 틀리는 것인지요?
감사합니다.
신 석우
안녕하십니까? 신석우님
언제고 반듯이 뜻을 이루실 것입니다. 출제 문제가 응축압력을 낮출 수 있는 실외기(응축기)의 설치 조건을 물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가 응축압력이 낮아지는 원인으로 물었을 경우에는
1. 냉각관의 스케일 및 유막제거 2. 불응축가스 제거 3. 적절한 냉각수량 및 냉각수온 확보 등으로 답을 해야 하겠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실외기 설치 조건을 물었기 때문에 응축압력을 낮출 수 있는 조건은 냉각 능력이 우수해야 하기 때문에 공냉식 응축기의 경우보다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이나 지하수의 개발은 지하수의 온도는 항상 15~20°C정도로 저온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응축압력을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 정답으로 하였습니다.
항상 응원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