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풀이중 지열히트펌프 단위면적당 1차에너지생산량 계산에 이의가 있습니다.
주1) 생산량=(신재생에너지생산량 - 신재생에너지생산에 필요한에너지량) x 해당1차에너지
환산계수
그런데, (175,000 x 1 - 54,799.03 x 2.75) / 3,500 = 6.94 로 되어 있는데,
주1)의 계산법에 따라
(175,000 - 54,799.03) x 2.75 / 3,500 = 94.44 가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므로 생산량 = 133.73 , 소비량 = 133.73 + 147.7 = 281.43
에너지자립률 = (133.73 / 281.43) x 100 = 47.52 %
ZEB등급 : 4등급
위 풀이에 대해 검토를 요청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걸입니다.
339번과 동일한 질문으로 보여 같은 내용으로 답변드립니다.
별표1의 2의 기준을 1차원적으로 해석하면 질문하신 것과 같은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기준의 산출식 자체는 시뮬레이션 과정의 계산프로세스를 정확히 표현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량)
× 해당 1차 에너지환산계수
의 의미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해당 1차 에너지환산계수 -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량× 해당 1차 에너지환산계수입니다.
위의 식의 의미를 살펴보면.. 전력을 많이 생산할수록 유리하고,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을수록 특히 전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수록 자립률에서 유리하게 도출됩니다.
문제에서 온수 및 냉수 (즉 열을) 생산할 경우의 해당 생산량에 대한 1차에너지 환산계수는 1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지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1을 곱해주며 나머지 전력생산 및 전력소비와 관련하여 전력 환산계수인 2.75를 곱하여 산출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