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학원강의] 3회 필기 건축설비시스템 48번
조*형2017.08.12답변완료

빙축열 방식일때 축열조 부피에서

1,000,000/{(1,000*4.2*15)*(1-0.25)+1,000*(340+4.2*15)*0.25}

위 식에서
0.75가 곱해지는 앞부분은 현열부분(15도-0도)인것 같은데,
0.25가 곱해지는 뒷부분 잠열부분에서 4.2*(15-0)부분은 왜 해야 하는지요?
그리고 계산도 0.25나 0.75가 분모에 곱해지는 것이 아니라 수축열 부분과 빙축열 부분의 계산결과에 각각 곱해서 더하여야 하는거 아닌지요?
자세한 설명 좀 다시 부탁드립니다.

답변한영동2017.08.14 15:50

안녕하십니까?   조윤형님

빙축열조용량V

빙축열조의 용량은 아래의 식의로 산출됩니다. 축열운전 중에 공조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빙축열의 축열량은 현열이용 부분(Cw•ρw•Δt•η)과 잠열이용 부분(IPF•ri•ρi)의 합계입니다.

V=Hs/(Cw•ρw•Δt•η+IPF•ri•ρi)=1000000/(4.2•1000•15•1+0.25•340•1000)=6.7567  약7m3입니다.

여기서

Hs :축열부하[kJ]        Cw: 물의 비열4.2[kJ/kgK]      ρw : 물의 밀도[kg/m3]

Δt : 축열조 이용 온도차[K]      η: 축열조 효율

IPF: 빙충진율   ri: 얼음의 잠열[kJ/kg]      ρi ; 얼음의 밀도[kg/m3]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축열조 효율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η=1로 하였고 축열조이용 온도차도 (15-0)으로 하였습니다. 실제로 축열조의 이용온도차는 (6~8)로 합니다.

수축열조는 간단하므로 생략했습니다.

교수님들의 문제 풀이와 약간 상이 한점이 있으나 제가 풀이한 방식으로 정리하십시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