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목관련하여, 문제풀이시 강의내용 중 공기연령에 제가 알고 있는내용과 차이가 있어 질문하고자 합니다. 공기연령이 환기효율을 평가하는 지표라고 말씀하셨고, 환기연령이 환기횟수의 역수라고 하셨는데, 제가 알기로는 환기횟수의 역수는 명목환기시간이고, 공기연령은 추적가스주입법에 의해 국소공기연령이나 평균공기연령(단위:시간/회)으로 측정한 후 명목환기시간을 측정한 공기연령값으로 나누어 환기효율(보통 60~70%정도)을 계산하는것 아닌가요? 즉, 말씀하신 환기횟수의 역수가 공기연령이 아니고 공기연령은 국소공기연령이나 평균연령으로 측정되는 값 아닌가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복대환선생님, 정확히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급하게 찾다보니 착각을 했습니다.
공기령과 환기효율에 대한 논문자료를 추가로 올려드립니다.
공기령은 환기효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개념으로,
급기구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 공기가 실내 임의의 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한다. 급기된 신선외기가 임의의 점까지 도달하기까지 쇼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공기는 신선하며, 환기효율은 높다고 정의한다.
공기환기효율 = 명목환기시간(환기횟수의 역수개념)/측정대상공간 내 호흡역에 대한 평균 공기령
으로 나타낸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