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학원강의] Page2-48,49 예제10번 문제 문의사항입니다.
전*현2017.07.20답변완료

예제10번 문항의 2)문항

 2) 중간기~~~ 외기량과 동력절감량(kWh)을 구하시오

   외기량 = 8,036 m3/h 

   동력절감량 = 62.97kw/3.5 x 720h = 12,953.8kWh

     62.97kw를 냉각코일 부하로 적용

     => 왜 외기냉방부하를 적용을 안하고 냉각코일 부하 적용을 하는지요

           냉동기의 COP로 나누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외기냉방부하 : 외기량 x 밀도 x (실내엔탈피-중간기외기엔탈피) x 운전시간 / (단위변환 x 냉동기 cop)

           8,036 x 1.2 x (54-28) x 720h / (3,600 x 3.5) = 14,327kWh

 

제가 문제 이해를 잘못했는지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답변한영동2017.07.21 14:23

안녕하십니까?   전유현님

이 문제는 먼저 정확한 문제는 아니고 수험생들의 기억에 의존하여 만든 문제라는 것을 먼저 말씀드립니다.(첫회 민간자격 문제는 비공개로 하였씀) . 만약 동일한 출재문제라고 여긴다면 완성된 출재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예전 교재에는 님이 풀이한 방식과 현교재의 풀이 방식이 동시에 실려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 풀이 방식만 남았내요. 먼저 교재의 풀이는 냉동기를 가동 하였을 경우에 소비동력을 구하여 외기냉방을 하였을 경우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동력소비가 절감된것을 가리키고요. 냉동기의 COP로 나누는 이유는 COP=냉동부하/소요동력에서 소요동력=냉동부하/COP로 소요동력을 구하기 위해서 입니다. 님이 풀이하신 방식은 외기부하를 구하는 것으로  그 외기부하가 외기냉방에 의한 동력절감량은 아니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어서 현교재의 풀이 방식으로 정한 것입니다.(저의 생각으로는 님이 풀이하신 방식을 선호합니다. 이유는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고 외기만을 이용하여 그 부하를 처리하였다면 당연히 외기부하 만큼 동력절감이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 완성도 문제라 ......) 좀더 완성된 문제를 만들어서 풀이 과정을 인강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열공하십시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