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량선도에서 관경을 구할 때, 유량과 단위길이당 압력손실 로 구하신 것 같습니다. 단서에 있는 유속=2.5m/s 이하로 한다. 라는 단서는 관계가 없나요?
일반적으로 유량선도를 보는 법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 문제3번 전양정을 구하는 문제에 대한 풀이는
전양정 = 직관길이x단위길이당 마찰저항+기기저항 으로 구했습니다.
그런데 문제 3번의 단서에 보면 배관의 국부저항은 직관저항의 50%로 한다 라고 되어 있으므로
전양정 = 직관길이x단위길이당 마찰저항x1.5+기기저항 으로 구해야 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십니까? 정민철님
1) 의 답변
배관관경이나 덕트의 관경을 구할 경우 일반적으로 유량선도를 이용합니다. 그 때에 유량과 단위길이당 압력손실을 이용하여 구합니다. 단서에서 유속=2.5m/s로 한다는 것은 유속이 2.5m/s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하라는 뜻입니다.
배관설계 시 유속이 지나치게 빠르면 수배관의 경우 워터햄머, 동력증대, 배관부식속도 증대 등의 우려가 크기 때문입니다. 유량선도를 보는 방법은 단위길이당 마찰저항(pa/m)과 유량과의 교점으로 구하는데 만약 32A와 40A사이의 관경일 경우에는 한 칫수 큰 관경인 40A를 선택하면 됩니다.
2) 의 답변
문제 풀이를 보시면 님의 풀이 하신데로 이상이 없습니다. 무엇인가 착각하신것 같습니다.
배관의 전양정= 104mx1.5x500=(직관길이)x(국부저항상당길이 포함)단위길이당 마찰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