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학원강의] 에너지자립률 100 % 이상에 대한 자립률 공식 해석?!?!
조*형2018.09.27답변완료

하기 첨부 내용과 같이 해석이 가능한지요.

소요량을 초과해서 생산된 값을 마이너스로 계산하면 생산량이 많을수록 자립률은 떨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검토하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남시복2018.10.04 12:19

1.태양광을 많이 적용한 사례에서 1차 에너지 요구량은 89.3-(-52.1)=141.4

에너지자립률은( 52.1÷141.4)x100=36.85%

 

2.태양광을 적게 적용한 사례에서 1차 에너지 요구량은 130.9-(-10.4)=141.3

에너지자립률은( 10.4÷141.3)x100=7.36%

 

3. 만약 극단적으로 태양광을 80으로 생산하면 에너지요구량은 141.3-80=61.3

으로 에너지자립률은( 80÷61.3)x100=130.50%

 

4. 시뮬레이션 건축물의  1차 에너지요구량은 141.3으로 일정하므로 신재생에너

지생산량이 많으면 에너지자립률은 100을 초과하게 됨

 

5. 분모의  1차에너지소비량은 실제로 1차 에너지요구량을 뜻하므로 항상일정한

수치임(소비의 개념이 아님) 

 

 

1. 에너지자립률은 아래식으로 산정함

에너지자립률 = ( 1차에너지생산량 ÷ 1차에너지소비량 ) x 100

주1) 1차 에너지 생산량 =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수반되는 에너지량) × 1차 에너지환산계수

주2) 1차 에너지 소비량 =

(건축물 에너지 소요량 +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1차 에너지환산계수

주3) 에너지 요구량-신재생에너지=에너지 소요량

 

2. 결론적으로

자립률=(1차에너지생산량÷1차에너지 요구량)×100으로 계산 함

 

3. 가급적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질문함(상권, 하권 몇 페이지 등)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