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목관련하여, 실무중에 전압강하 계산식이 교재내용과 다르게 적용한
경우가 있어 문의 드립니다.
전압강하 계산식
△V = K · ( Rcosθ + Xsinθ ) · I · L
△V: 전압강하 [V]
K: 전기방식에 따른 계수(단상,직류2선식=2,단상 3선식,3상 4선식=1,3상 3선식=√3)
R: 도체 저항 [Ω/km]
X: 도체 리액턴스 [Ω/km]
cosθ: 부하 역률 (Power Factor)
sinθ: 부하 무효율 (Reactive Factor)
I: 전류 [A]
L: 도체 길이 [m]
전압강하율을 산출하는데 상기식을 이용하여 전압강하를 계산하고 있고,
교재식과 상기식의 결과값이 차이가 있던데 적용시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명쾌한 답변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험생님. 김민혁 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저희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전압강하 계산법은
전압강하 약식[내선규정]으로 소개가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수험생님께서 올려주신 내용은 정식으로 전압강하를 계산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전압강하를 계산한다면 L값이 매우 작으므로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수십km나 되는 배전서로나
송전선로에서는 L값이 매우 크므로 생략하지 않고 모두 고려하여
계산 하는 것입니다. 물론 오차가 당연히 발생하지요^^
다만, 우리 에평사에서는 전압강하 계산약식으로 푸시면 됩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