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p 밑에서 3번째줄
"환기에 의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외피를 고기밀 구조로 하여 Q를 줄인다"
Hi=0.34*Q*온도차에서
Q를 줄이면 당연히 열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고기밀이 왜 환기량Q를 줄일 수 있는지요?
환기란 의도한 행위로(IAQ 개선 등) 외기를 도입하는 것이기에
외피를 고기밀 구조로 하게 되면 오히려 의도하지 않는 침기, 누기가 줄어
실내오염은 더 커질 것이고, 따라서 단위시간당 환기량은 환기에 시간이 더 소요되어
Q값이 늘어나는 게 아닌지요?
해서, Q값 보다는 전열교환기 설치 열회수 환기로 온도차를 줄여 열손실을 줄인다가
더 합당한 방법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는데,
제가 뭘 착각하고 잘 못 알고 있는 것일까요?
환기에는 자연환기와 기계환기 외에 개구부 틈새를 통한 극간풍에의한 환기도 있습니다.
외피의 기밀성능이 떨어지면 이 극간풍에 의한 환기량이 많아져서 건축물의 냉난방부하가 커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