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안녕하세요
과년도 기출문제 풀면서 질문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1. 446페이지 14번 문제 ㄹ에서는 "재료1의 열전도율이 재료2보다 높다"고 나오는데요, 재료1의 기울기가 재료2보다 완만하니까 재료2보다 저항이 크고 열전도율이 낮은 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ㅁ지문은 맞는 내용 같은데 오답이어서 제가 개념을 반대로 학습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2. 464 페이지 6번 2번 지문에서 "외벽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향상시키면 창으로부터의 일사 유입에 의한 실온 상승 영향이 커지게 된다"는 맞는 문장인데요, 기밀성능이 낮을 때 실온 상승 영향이 커지는 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3. 465페이지 9번 3번째 지문 "a 지점의 온도는 기본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다"는 틀린 문장이고 대안-1에서 가장 낮다고 나오는데요, 기본안에서는 단열보강을 안해서 실외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테니 온도가 더 낮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대안-1이 더 낮게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4. 478페이지 6번의 2번째 지문에서 "외피 구성요소 중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재료에서 온도기울기가 가장 급하게 나타난다"는 내용이 틀려서 "높은"을 "낮은"으로 고쳐야 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것이 저항이 낮아서 온도 기울기가 급한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두서없이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1. 4. 벽체내의 온도구배(기울기)는 단열재와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가 열저항이 커서 온도구배가 크게 나타납니다. 다시말해 해당재료 전후의 온도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2. 외벽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이 향상되면 외벽을 통한 관류열획득과 틈새바람에 의한 열획득이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일사획득열은 변함이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일사획득열의 영향이 커지게 됩니다.
3. 기본안은 실내에서 외부로 흘러가는 열에 의해 a점의 온도가 대안-1에 비해 높게 나타납니다. 대안-1의 경우는 단열보강으로 인해 실내로부터의 열류경로가 길어져서 실내로부터의 열전달이 줄어들어 a점은 기본안에 비해 온도가 낮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