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교재 p335 의 광속발산도에 대해서~~~
박*두2018.01.24답변완료

교재 p335 의 광속발산도에 대해서 교재와 설명이 ??

apostilb는 광속발산도의 rlx의 같은 단위라고 설명하던데

교재에는 휘도부분의 비고란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교재가 잘못되어 있는것 인가요?

 

추가로

교재 3권 건축설비시스템의 p492에서 스틸브는 휘도의 cd/cm2으로 설명되어 있는데 헷갈리네요.

stilb와 apostilb는 전혀 다른 것인지?

자세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답변권영철2018.01.24 22:17

광속발산도란 단위면적당의 발산광속(lm/m2)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발산면의 조도*반사율 로 구할 수 있습니다.

휘도란 주어진 방향을 이동하는 빛에 대해 단위면적당 광도를 측정한 것(cd/m2)이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단위입체각당 발산광속(lm/m2·sr)입니다.

휘도에 대한 SI단위는 cd/m2이고, 동일 단위에 대해 SI가 아닌 용어로 "nit"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휘도에 대한 CGS단위가 stilb이며, cd/cm2 또는 10kcd/m2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apostilb는 1978년에 사용이 중단된 휘도의 옛단위로 asb를 기호로 사용합니다.

apostilb와 stilb의 관계는

1 asb = 1/π·10‾4 sb 이고

3.14 asb = 10,000 sb = 1 cd/m2 = 1 nit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