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태형2018.10.08 11:49

    저는 바닥난방의 경우 제6조제3호의 "바닥난방에서 단열재의 설치" 기준에 따라 열관류율 역수의 60,70%로 설치하는 것으로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시험에 출제된다면 제 생각과 논리로 작성할 요량입니다. 도대체 단열재가 얼마나 비싸고 시공하기 어렵다고 단열을 하네 마네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1번 그림도 마찬가지지만 상부층 비주거 천장에 단열을 했다고 주거에 접한면을 단열조치 안한다고 하나본데 여기에도 문제가 있는게 상부층 비주거 천장 위 공간이 비주거이면서 동일공간이라면 난방과 난방은 단열조치를 하지 않는다와도 배치됩니다. 즉 상부층 위 공간이 어떤 공간인지도 모르고 단열을 할바에야 주거 천장에 단열하는 것이 백번 맞아 보입니다. 또한 권장사항의 평면계획 가목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가능한 낮게한다라는 조문과도 어울리지 않아 보입니다. 해서 저는 맘 편히 먹기로 했습니다. 내 주장과 논리로 확 적어버리고 틀려버리기로 했습니다. 점수를 주면 다행이고 말입니다.^^

  • 조태형2018.10.08 12:00

    첨언해 말씀드리면 "난방과 난방은 단열조치 하지 않아도 된다"의 의미를 나름 해석해 보면 동일용도의 난방과 난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동일용도라면 냉난방 조건도 동일할테니까요. (주간 거실, 야간 비난방)

  • 복대환2018.10.08 12:03

    남교수님은 해설서 기준으로 설명한거 같고, 다른 교수님은 나름 판단을 한거 같은데, 두분 의견이 약간 다르니, 실제로 비주거 건물에서 거실하부에 창고가 있을때 바닥은난방을 하면 간접기준 단열조치 하고, 바닥난방 안하면 단열을 안하는 것인지.., 시험에 안나오기를 바래야죠...

  • 조태형2018.10.08 12:33

    제6조제1호의 3)"외기에 간접 면하는 부위로서 당해 부위가 면한 비난방공간의 외피를 별표1에 준하여 단열조치하는 경우" 열손실방지조치를 아니할 수 있다.의 조문과도 연관성이 있어 보입니다.

  • 조태형2018.10.08 12:50

    그리고 4번은 외벽에 단열조치가 안되어 있고, 8번은 외벽까지 단열조치가 되어 있는 것으로 고시는 해석을 한 것 같네요. 허면 다른 그림은 외벽 단열이 빠졌는데도 상부의 천장이나 하부의 바닥에 단열조치가 되었다고 중간층 슬라브에 단열을 하네 마네하고 있으니 이 고시의 그림이 맞는 것인지 의문에 의문이 더해 갑니다.

  • 복대환2018.10.08 13:00

    님 말씀처럼 8번은 그리하면 해당부위는 단열조치 안하지만, 4번에서 상부층 바닥에 단열조치시 해당층 바닥난방을 해야 단열조치를 하느냐, 아니면 바닥난방 상관없이 냉난방공간이 비난방공간이 면할때 바닥에 간접 단열조치를 해야 하는냐 그런 차이인데 이 상황을 규정짓는 문구가 어디에 있는지가...

  • 조태형2018.10.08 13:10

    "비난방공간의 외피(벽,지붕,바닥,창 및 문)를 별표1에 준하여 단열조치" 조문으로 단열했다는 것이겠지요. 즉 비난방공간 외피에 단열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비난방공간에 면한 부위를 간접 단열조치해야 되는 것이고 말입니다. 하권 1-90페이지 하단 고시 그림에 있습니다.

  • 조태형2018.10.08 13:13

    물론 외피는 직접면하는 부위이지만 오히려 간접면하는 부위임에도 단열조치를 했으니 ~~

  • 복대환2018.10.08 14:14

    P-90은 벽체부위 같은데, 제 의문은 바닥부분에서 상부층 난방공간+하부층 비냉난방 공간일때 상부층 바닥을 간접기준 단열조치 한다는 문구가 있는지 있으면 어디에 있는지가 궁금해서요.. 상부층 바닥냉난방 공간+하부층 비난방이나 비바닥난방에 대한 문구는 있는데, 상부층이 난방공간일때 해당하는 단열조치 방법 문구를 못찾아서...

  • 조태형2018.10.08 14:43

    외피는 바닥도 포함되지 않나요. 해서 경우로 보시라는 것이었고, 난방과 비난방공간이 접하면 난방공간의 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혹은 외부의 열이 침입하지 않도록) 단열조치 하는 것으로 보시면~~이것 때문에 열손실방지조치를 하라는 것이겠지요. 방습층은 온도가 높은 쪽에 설치하는 것이고 말입니다. 하나에서 열까지 고시나 조문으로 만들지는 못하겠지요. 대표적인 것으로 고시나 조문을 만들고 그것에 벗어나지 않게 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셔야 할 겁니다.

  •  
  • 1
  • 2
  • 3
  •